2016. 6. 29. 15:05ㆍ잡동사니
난 가끔 말의 어원에 대한 생각을 하곤 한다
영어를 공부하면서 단어의 어원 ( Etymology ) 궁금해졌고 아주
오랫동안 단어 하나하나가 변화해온 역사가 잘 정리되어 있는것
에 감탄하곤 한다.
그런데 우리 나라엔 너무나도 많은 어원을 알수 없는 말들이 존
재함에 또한 감탄 ( ? ) 하곤 한다.. 아마도 식민지시절의 영향이
겠지라고 생각하기엔 또 궁금증이 남는다.. 식민지가 끝난지 얼
마나 오래되었는데 아직도 라는 생각....
오늘은 어릴 적부터 들어오던 기정떡이란 단어를 생각해 보았다
주위에 계신 어르신들은 아무도 그 말이 어떻게 온 말인지 모른다.
기정은 경상도와 강원도에서 쌀가루와 막걸리를 섞어 발효시켜 쪄
서 만드는 수증기로 쪄서 만드는 증편을 이르는 말이다. 기주떡이
라고도 부른다. 고려부터 있었다는 것에 촛점을 맞추자면 이 말은
순수 우리말은 절대 아닐 거란 생각을 한다.
멸치가 滅麗鯔 라는 한자어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. 고려 멸
망 경부터 발견된 고기라는 의미라고 한다. 지방 사투리 에서는
며루치 혹은 메리치라고 불리운다..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지금은
사투리라고 우리가 무시하는 발음이 오히려 고려시대 정통 발음에
더 가까운 발음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..
실제로 滅麗 ( 멸려 ) 의 현재 중국어 발음이 " 미에리 "라
는 점을 생각해보면 일부지방 사투리에서 사용되는 메리 와 발음이
많이 비슷하다.
같은 방식으로 기정떡이란 단어도 한자어에서 시작되었을 거란 생
각에서 출발하다 보면 수증기에 찌다라는 의미를 가진 蒸 ( 찔 증 )
을 중국어 발음을 알아보면 쩡 이다...
기는 수증기를 의미하는 氣 ( 기운 기 ) 를 썼을 듯하다.. 즉 한자
로 氣蒸 ( 기증 ) 이라는 단어에서 시작되었을 것같다. 氣 는
현재 중국어로는 치 라는 발음이 나지만 고려부터 지금까지 같은
발음으로 불리우리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무리일 수 있다고 생각
해보면 " 치쩡" 이라고 안 불리우고 기정이라고 불리운다고 이상
할 이유는 없다.
오히려 이상한 것은 해방된지 정말 오래되었는데도 우리 언어나 단
어의 어원에 대한 연구가 전혀 안 이루어지는지 그게 더 궁금하다..
어원이 궁금한 단어들 참 많은데 말이다. 순수 우리말이라는 말로
설명없이 넘어가는 많은 말의 참 뜻과 뿌리를 나만 궁금한건가?
'잡동사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잊을 수 없는 여자 마라토너 Gabriela Andersen-Schiess (0) | 2016.08.05 |
---|---|
문득 떠올랐어 !! (0) | 2016.07.15 |
고생과 행복은 한 획 차이다 (0) | 2016.06.21 |
마그네틱 (0) | 2016.05.06 |
규칙.... (0) | 2016.04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