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일인들이 수능 독일어를 풀었을 때 반응 + 한국의 수험생들에게

2016. 12. 28. 11:52잡동사니




시험은 쓸데없는 분별을 위해 사용되어선 안될 지 모른다

단어 하나 더 아는 사람을 고르기보다는 반사회적이고 싸

이코패스들과 사람들에게 고통주길 즐기는 세디스트를 분

별하는 용으로 사용되어야 할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

다. 열정이 있고 정말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그 어떤 벽이

라도 뛰어 넘을 것이기 때문이다.. 열정을 가져도 단어 하

나 몰라서 시도조차 못하게 한다면 오히려 사회의 손실 아

닐까? 만약 이순신 장군이 영어 점수가 안 좋아서 무과에 

합격하지 못했었다면 ? 윤봉길 의사가 수학문제를 못풀어

독립운동할 자격이 주어지지 않았다면 웃기지 않을까?


어쩌면 인생의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자신의 모든 열정을 시

험공부하다 다 소진하고 지쳐버려 나머지 생에서 자신의 

행동의 옳고 그름을 분별하길 포기한다면 자신의 나머지 

인생이 누군가의 것처럼 되어 노예같은 삶을 사는 것에 

개의치 않는 사람이 될 수있지 않을까? 라는 생각을 하게 

된다. 한때 각 집안의 자랑이었을 수재들이 국가의 높은 자

리에 올라 각 학교에 플랭카드 좀 붙였을 사람들이 어느새  

사회적 인물이 되어 국가를 분열시키고 국민을 제 입맛

로 소팅하며 나누고 소불위의 권력을 주물럭거리다 들

킨 후에 그 죄를 묻는 청문회장에 나와서도 전혀 반성하지 

않고 거짓을 일삼는 것을 볼 때 과연 이 사회의 시험제도가  

옳은 사람을 선별할 수 있는 옳은 제도인지 다시 한번 생각

해야 할지 모른다는 생각을 갖게 된다..


정신이 건강한 사람을 어떻게 분별할 것인가? 지극히 권력

이나 자본과 단기적 이익에 맞춰진 정책을  장기적이고 인

본주의적 정책으로 변환시킬 정도로 국민이 깨어나게 만들

면  우린 어떻게 해야 할까? 우리 교육에서 시작해야 

지 않을까? 자본주의나 시장의 수요공급보다  인본주의 먼

저 다루는 사회가 우리가 진심으로 바라는 것이  되어야 한

면 그런 교육에 대해 전 국민이 고민해야 할 바로 그  시

점이 지금이 아닐까 각이 든다. 



 





'잡동사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친구에게  (0) 2017.01.10
시간의 환타지  (0) 2017.01.09
Make Like a Tree and Leave 꺼져!!!  (0) 2016.12.27
고생하세요  (0) 2016.12.16
crop.....  (0) 2016.12.15